엔자임726 지진, 화재, 응급사고 시 대처요령 최근 잇따라 발생한 지진으로 깜짝 놀라신 분들 많으시죠?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엔자이머들은 큰 피해가 없었지만, 경주 지역에는 큰 피해를 본 주민들이 많다고 합니다. 지진이 흔히 일어나는 자연재해가 아니다 보니 준비된 안전 가이드를 찾기 힘들어 일부 사람들은 일본의 안전가이드를 참고하기도 했습니다. ▲도쿄도청에서 제작한 방재책자 '도쿄방재' (http://www.metro.tokyo.jp/KOREAN/GUIDE/BOSAI/index.htm) 만약 업무 시간 중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가 발생했을 경우 어떻게 대처하실 건가요? 일단 아래 3가지만 지켜도 지진 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하네요. 자연재해 외에도 근무 중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당황하기 쉬운데요. 엔자임헬스는 응급 상황 발생 시 대처할 수 있는.. 2016. 9. 27. 두번째 안식월, 제주에서 한 달 살고 왔어요 두 번째 안식월, 제주에서 한달 살기 안녕하세요. 김세경입니다. 많은 분들의 배려 덕분에 두 번째 안식 휴가를 다녀왔어요. 이번 안식 휴가의 주제는 제주에서 한달 살기였습니다. 한달 내내 제주도에서 띵까띵까. 뭔가 막 그냥 되게 좋아 보이고 그렇죠? 그런데 아무것도 안하고 노는 것은 그 순간 좋지만, 지나고 나면 기억에 남는 것이 없더라고요. 놀더라도 뭔가를 하면서 노는 것. 즉 자기 자신에게 놀기 퀘스트를 주는 것. 그러한 놀기야 말로 진정한 놀기라고 할 수 있죠. (뭐 이건 저의 주장일 뿐입니다. :)) 그래서 저는 제주에서 한달 살기에 몇 가지 퀘스트를 설정하고, 수행하였습니다. 남들이 보면 뭐 그런걸 퀘스트라고 해?라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경험하지 않은 것을 경험하도록 스스로에게 기회를 주고, .. 2016. 9. 21. 헬스커뮤니케이션닥터_ 건강 커뮤니케이션, 동물과 자연을 품다 최근 동물보호 및 동물복지, 친환경 관련 제품 및 서비스 등 전통적인 헬스커뮤니케이션의 영역을 넘어선 활동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헬스 커뮤니케이션의 비즈니스 범위에 대해 재정의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건강 커뮤니케이션, 동물과 자연을 품다 [헬스커뮤니케이션닥터] ‘더불어 건강한 미래’를 위해 [더피알=김동석]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은 것만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정신적·사회적으로 완전히 안녕한 상태’. 세계보건기구(WHO)가 1948년 발표한 ‘건강(Health)’의 정의다. 당시 이미 인간의 신체적 건강을 넘어 정신적·사회적으로까지 건강의 의미를 넓게 해석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헬스커뮤니케이션 역시 그동안 인간의 신체적·정신적·사회적 건강의 틀 안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일선 현장에도 적용돼.. 2016. 9. 20. [Global Expedition] Urban Health 도시의 "살 곳" 을 찾아! Episode 3 [ 2016. 08. 07 ~ 2016. 08. 14 ] 안녕하세요! 글로벌원정대 도시건강 팀입니다. 오늘은 세번째이자 마지막 에피소드를 올립니다 :) . . 저희 팀은 3일간 암스테르담에서의 여정을 마치고 ‘로테르담’으로 이동! 로테르담은 네덜란드 제2의 도시이자 과거에는 세계 최대의 항구 도시였던 곳인데요, 한국의 부산이랑 비슷한 느낌이라고 볼 수 있어요. 로테르담은 1940년 독일 나치의 폭격으로 도시가 황폐화된 이후, 도시를 복구하는 것이 새로운 도시를 창조하기로 결정했는데, 이러한 도시창조계획 덕분에 로테르담은 현재, 신기한 건물들도 가득 찬 건축 실험의 도시가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암스테르담은 누가 봐도 유럽 같은 고풍스런 중세 건물이 많았다면, 로테르담은 현대적인 건물이 많아 세련된 도시.. 2016. 9. 13. 이전 1 ··· 39 40 41 42 43 44 45 ··· 182 다음